맨위로가기

올림픽 홍콩 선수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홍콩 선수단은 홍콩 특별행정구의 올림픽 참가 선수단을 의미한다.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하여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 총 7번의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으나 메달 획득 기록은 없다. 선수단 명칭은 역사적 변화를 반영하여 변경되었으며,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부터는 "홍콩, 중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홍콩 선수단
올림픽 정보
NOCHKG
NOC 이름중국 홍콩 체육 협회 올림픽 위원회
웹사이트중국 홍콩 체육 협회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순위77
금메달4
은메달3
동메달6
올림픽 참가
하계 올림픽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동계 올림픽2002 2006 2010 2014 2018
하계 청소년 올림픽2010 2014
관련 정보

2. 역사

홍콩 출신 선수 중 최초로 올림픽에 참가한 인물은 양소경이다. 그는 1936년 올림픽에 당시 영국령 홍콩이 아닌 중화민국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다. 현재 중화민국은 타이완과 일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

홍콩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1950년에 '홍콩 아마추어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홍콩, 중국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위원회는 1951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았다. 이후 홍콩은 영국과는 별개의 선수단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당시 홍콩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할 경우, 시상식에서는 홍콩 식민지 시대의 국기가 게양되고 영국의 국가가 연주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 행정구가 되었고, 홍콩 NOC의 공식 명칭은 홍콩, 중국으로 바뀌었다. 중요한 점은 홍콩이 반환 이후에도 자체 NOC를 유지하며 중국 본토와는 별도로 올림픽에 계속 참가한다는 것이다. 이는 홍콩의 독자적인 지위를 인정하는 경과 규정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지만, 이를 명시적으로 증명하는 공식 문서는 확인되지 않았다.[1] 이러한 홍콩의 독자적인 올림픽 참가는 마카오의 경우와 대조된다. 마카오 역시 자체적인 마카오, 중국 스포츠 및 올림픽 위원회를 보유하고 있지만, IOC의 인정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올림픽에는 참가하지 못하고 아시안 게임과 같은 지역 대회에서만 중국 본토와 별도로 경쟁할 수 있다.[2]

홍콩 반환 이후 올림픽 시상식에서는 홍콩 특별 행정구 국기가 게양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가 연주된다. 만약 홍콩 선수가 금메달을 따고 중국 본토 선수가 은메달이나 동메달을 획득하는 경우에도, 홍콩 국기가 중국 국기보다 상위에 게양된다. 이러한 홍콩의 독자적인 국제 스포츠 활동은 홍콩 반환 이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제정한 홍콩 기본법 제7장 제151조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해당 조항은 홍콩이 "스스로 [...] 경제, 무역, 금융, 통화, 해운, 통신, 관광, 문화 및 스포츠 분야를 포함하여 적절한 분야에서 외국 및 지역과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며 관련 협정을 체결하고 이행할 수 있다"고 명시하여 홍콩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있다.[3]

한편,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당시 승마 종목 경기는 홍콩에서 개최되었다.

3. 종목별 메달 획득 현황

지금까지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올림픽 메달은 총 13개이다.[10] 특히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주요 메달 획득 종목으로는 펜싱, 요트, 수영, 탁구, 사이클, 가라테 등이 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3. 1. 하계 올림픽



지금까지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올림픽 메달은 총 13개이며, 이 중 6개는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획득한 것이다. 동계 올림픽에서의 메달 획득은 아직 없다.

3. 2. 동계 올림픽


3. 3. 하계 올림픽 종목별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합계
펜싱3003
요트1001
수영0224
탁구0112
사이클0022
가라테0011
합계43613


4. 메달리스트 목록

리칭2004년 하계 올림픽-- 탁구남자 복식-- 동리웨이쓰2012년 하계 올림픽-- 사이클여자 경륜-- 금청카롱2020년 하계 올림픽-- 펜싱남자 플뢰레 개인전-- 은시본 호이-- 수영여자 200m 자유형-- 은여자 100m 자유형-- 동두호이켐
리호칭
수와이얌-- 탁구여자 단체-- 동라우모섹-- 가라테여자 카타-- 동리웨이쓰-- 사이클여자 스프린트-- 금비비안 콩2024년 하계 올림픽-- 펜싱여자 에페 개인전-- 금청카롱-- 펜싱남자 플뢰레 개인전-- 동시본 호이-- 수영여자 200m 자유형-- 동여자 100m 자유형


5. 다관왕

wikitext

선수종목올림픽------합계
시오반 하우에이수영2020, 20240224
장가롱펜싱2020, 20242002
이혜시사이클2012, 20200022


6. 국가 올림픽 위원회

홍콩 출신 최초의 올림픽 선수는 양소경(Yvonne Yeung)으로, 1936년 중화민국(ROC) 소속으로 당시 영국령 홍콩을 대표하여 출전했다. 중화민국은 현재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 홍콩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1950년 홍콩 아마추어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홍콩, 중국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SF&OC)로 알려져 있다. 이 위원회는 1951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인정을 받았고, 이후 홍콩은 영국과는 별도로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당시 금메달 시상식에서는 홍콩 식민지기 국기가 게양되고 영국 국가가 연주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중화인민공화국(PRC)의 새로운 특별 행정구(SAR)가 된 홍콩의 NOC는 "홍콩, 중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홍콩은 자체 NOC를 유지하며 중국 본토와는 별도로 올림픽에 참가한다. 이는 반환 협정에 따른 경과 규정으로 여겨지지만, 이를 명시적으로 증명하는 공식 문서는 확인되지 않았다.[1] 이와 대조적으로, 마카오 역시 자체적인 NOC를 가지고 있지만 IOC의 인정을 받지 못해 아시안 게임과 같은 지역 대회에서만 중국 본토와 별도로 경쟁할 수 있다.[2]

홍콩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할 경우, 시상식에서는 홍콩 특별행정구 기가 게양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가 연주된다. 심지어 중국 본토 선수가 은메달이나 동메달을 획득하는 경우에도 홍콩 특별행정구 기가 중국 국기보다 위에 게양될 수 있다. 이는 홍콩 반환 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공포한 홍콩 기본법 제7장 제151조에 따라 허용되는 것으로 해석된다. 해당 조항은 홍콩이 "자체적으로 [...] 경제, 무역, 금융, 통화, 해운, 통신, 관광, 문화 및 스포츠 분야를 포함하여 적절한 분야에서 외국 및 지역과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며 협정을 체결하고 이행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3]

2008년에는 홍콩이 2008년 하계 올림픽의 승마 경기를 개최하는 장소가 되기도 했다.

홍콩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인 SF&OC는 부패 방지 독립 위원회(ICAC)와 레저 및 문화 서비스부(LCSD)로부터 부패 문제와 관련하여 여러 차례 경고를 받았으며, 조직 운영 방식 개선을 요구받았다. 티모시 폭(Timothy Fok)이 위원회 회장으로 재임하는 동안 SF&OC와 폭 회장을 둘러싼 여러 비위 혐의가 제기되었다. 2016년 8월, ''홍콩 경제일보''는 SF&OC와 폭 회장의 다양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기사를 게재하기도 했다.[4] 2020년 4월, 홍콩 정부의 감사 위원회는 올림픽 위원회를 조사한 후 141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발표했는데, 이 보고서는 SF&OC의 부실한 조직 운영을 포함한 여러 문제점을 상세히 지적했다.[5]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는 사설을 통해 감사 위원회의 지적에 동의하며, 이러한 문제들이 홍콩 스포츠 발전에 위협이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6]

홍콩의 전 스포츠 위원인 楊德強(Yeung Tak-keung)은 정부 내에서 스포츠 분야에 대해 잘 아는 인사가 "극소수"에 불과하며, "그들은 종종 스포츠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스포츠 발전의 관점에서 생각하지 못한다"고 비판한 바 있다.[7]

7. 선수 훈련

홍콩 스포츠 연구소(HKSI)는 홍콩 정부의 지원을 받는 엘리트 선수 및 올림픽 유망주 훈련 센터이다.[1] HKSI는 20개의 A등급 스포츠에 주로 자금을 지원하는데, 이 중에는 올림픽 종목이 아니거나 단기간에 성과를 내기 어려운 종목도 포함되어 있어 다른 스포츠 종목에 대한 지원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아왔다.[1]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홍콩 선수단이 6개의 메달을 획득하며 역대 최고 성적을 거두었음에도 불구하고, HKSI의 전 최고 경영자이자 홍콩 침례대학교 스포츠 교수인 정백광은 투입된 자원에 비해 홍콩의 올림픽 성과가 부족하다고 지적했다.[1] 그는 홍콩의 스포츠 발전이 2016년 하계 올림픽 (당시 메달 0개)에서 더 일찍 성과로 나타났어야 했다고 주장했다.[1] 한편,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의 기사에서는 익명의 고위 스포츠 관계자가 홍콩이 아시아 선수들이 전통적으로 강세를 보이는 양궁이나 체급별 경쟁이 이루어지는 유도와 같은 종목에 더 많은 지원을 하는 "메달 지향적인 전략"을 채택해야 한다고 제안하기도 했다.[1]

8. 정부 규정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선수단의 공식 명칭은 기존의 "홍콩"에서 "중국 홍콩"(中国香港|Zhōngguó Xiānggǎngzho)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중화인민공화국의 주권 하에 있음을 반영하는 조치이다. 대부분의 다른 언어권에서는 이 명칭을 번역하여 사용하지만(예: Hong Kong, Chinefra, Гонконг, Китай|Gonkong, Kitayrus), 일본에서는 ホンコン・チャイナ|Honkon Chainajpn, 한국에서는 '홍콩차이나'와 같이 영어 'China'를 음차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2024년 11월, 홍콩 정부서핑을 금지하는 규정을 발표하여, 홍콩 선수단이 올림픽 서핑 종목에 참가할 가능성을 사실상 차단했다.[9]

9. 명칭

영국령 홍콩 시절인 1997년 이전까지 홍콩 선수단은 단순히 "홍콩"(Hong Kong)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픽에 참가했다. 당시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1950년 설립된 홍콩 아마추어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였으며, 1951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의 승인을 받아 영국과는 별개의 선수단으로 출전하기 시작했다. 금메달 시상식에서는 홍콩 식민지기 국기가 게양되고 영국 국가가 연주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중화인민공화국(PRC)의 특별 행정구(SAR)가 되면서 선수단의 공식 명칭은 "홍콩, 중국"(Hong Kong, China)으로 변경되었다. NOC의 명칭도 홍콩, 중국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로 바뀌었다. 홍콩은 홍콩 기본법 제151조[3]에 따라 독자적인 NOC를 유지하며 중국 본토와는 별개로 올림픽에 계속 참가하고 있다. 이는 일국양제 원칙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지만, 명시적인 합의 문서는 확인되지 않았다.[1] 이러한 홍콩의 지위는 자체 NOC는 있지만 IOC의 승인을 받지 못해 올림픽에 독자적으로 참가하지 못하는 마카오와 대비된다.[2]

변경된 명칭에 따라 금메달 시상식에서는 홍콩 특별 행정구 기가 게양되고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가 연주된다. 홍콩 선수가 금메달을 따고 중국 본토 선수가 은메달이나 동메달을 딴 경우에도 홍콩 특별 행정구 기가 중국 국기보다 위에 게양된다.

국제적으로 "홍콩, 중국"이라는 명칭은 다양한 언어로 번역되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프랑스어로는 Hong Kong, Chinefra, 러시아어로는 Гонконг, Китай|곤콩, 키타이rus, 중국어로는 中国香港|중궈 샹강zho으로 표기된다. 일본에서는 ホンコン・チャイナ|홍콩 차이나jpn로 표기하며, 한국에서는 '홍콩 차이나'와 같이 영어 'China'의 음차를 사용하기도 한다.

참조

[1] 웹사이트 As China absorbs Hong Kong, why do both get Olympic teams? https://apnews.com/a[...] 2024-07-29
[2] 웹사이트 About the Sports and Olympic Committee of Macau, China http://www.macauolym[...] 2013-11-08
[3] 웹사이트 Basic Law Full Text – chapter (7) http://www.basiclaw.[...] 2010-02-13
[4] 웹사이트 How a cabal controls Hong Kong's Olympic sports EJINSIGHT – ejinsight.com https://www.ejinsigh[...] 2021-08-05
[5] 웹사이트 Hong Kong watchdog pans city's Olympic Committee over spending, lack of meetings and athlete selection criteria https://www.scmp.com[...] 2021-08-05
[6] 웹사이트 Hong Kong's sport bodies should lift their game https://www.scmp.com[...] 2021-08-05
[7] 웹사이트 'Opinion {{!}} Hong Kong’s tourism, culture sectors deserve support, not just criticism' https://www.scmp.com[...] 2024-11-20
[8] 웹사이트 Tokyo Olympics was Hong Kong's 'greatest games' ever, but are more medals on the horizon or was this a flash in the pan? https://www.scmp.com[...] 2021-08-09
[9] 웹사이트 'Exclusive {{!}} Hong Kong officials double down on surfing ban, refuse to discuss change in law' https://www.scmp.com[...] 2024-12-19
[10] 웹사이트 'Team Hong Kong, China - Profile {{!}} Tokyo 2020 Olympics' https://olympics.com[...] 2021-08-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