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홍콩 선수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올림픽 홍콩 선수단은 홍콩 특별행정구의 올림픽 참가 선수단을 의미한다. 2002년 솔트레이크 시티 동계 올림픽에 처음 참가하여 20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까지 총 7번의 동계 올림픽에 출전했으나 메달 획득 기록은 없다. 선수단 명칭은 역사적 변화를 반영하여 변경되었으며, 1998년 나가노 동계 올림픽부터는 "홍콩, 중국"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
올림픽 독일 연합 선수단은 1956년부터 1964년까지 서독과 동독의 연합으로 구성되어 올림픽에 참가했으며, 독일 선수단 승리 시 베토벤의 교향곡 9번을 연주하고 올림픽 국기를 사용했으며, 하계 올림픽에서 118개, 동계 올림픽에서 19개의 메달을 획득했다. - 나라별 올림픽 정보 - 올림픽 영국 선수단
영국은 하계 올림픽과 동계 올림픽에 모두 참가하며, 1896년 첫 근대 올림픽부터 모든 하계 올림픽에 참가했고, 하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298개,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 12개를 획득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2008년 하계 올림픽
2008년 하계 올림픽은 "하나의 세계, 하나의 꿈"이라는 표어 아래 중화인민공화국 베이징에서 204개국이 참가한 역대 최대 규모의 대회로, 28개 종목에서 302개의 메달을 놓고 경쟁했으며 중국이 금메달 1위를 차지했으나 인권, 환경, 도핑 문제 등 논란도 있었다. - 올림픽 선수단에 관한 - 1996년 하계 올림픽
1996년 하계 올림픽은 미국 애틀랜타에서 개최되어 26개 종목 271개 세부 종목으로 구성, 197개국이 참가했으나, 센테니얼 올림픽 공원 폭탄 테러 사건과 재정적 성공, 도시 인프라 개선이라는 양면성을 남겼다.
올림픽 홍콩 선수단 | |
---|---|
올림픽 정보 | |
NOC | HKG |
NOC 이름 | 중국 홍콩 체육 협회 올림픽 위원회 |
웹사이트 | 중국 홍콩 체육 협회 올림픽 위원회 공식 웹사이트 |
순위 | 77 |
금메달 | 4 |
은메달 | 3 |
동메달 | 6 |
올림픽 참가 | |
하계 올림픽 | 1952 1956 1960 1964 1968 1972 1976 1980 1984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2 2016 2020 2024 |
동계 올림픽 | 2002 2006 2010 2014 2018 |
하계 청소년 올림픽 | 2010 2014 |
관련 정보 |
2. 역사
홍콩 출신 선수 중 최초로 올림픽에 참가한 인물은 양소경이다. 그는 1936년 올림픽에 당시 영국령 홍콩이 아닌 중화민국 대표팀 소속으로 출전했다. 현재 중화민국은 타이완과 일부 섬 지역을 중심으로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고 있다.
지금까지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올림픽 메달은 총 13개이다.[10] 특히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는 총 6개의 메달을 획득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주요 메달 획득 종목으로는 펜싱, 요트, 수영, 탁구, 사이클, 가라테 등이 있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아직 메달을 획득하지 못했다.
홍콩의 국가 올림픽 위원회(NOC)는 1950년에 '홍콩 아마추어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라는 이름으로 처음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홍콩, 중국 스포츠 연맹 및 올림픽 위원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이 위원회는 1951년 국제 올림픽 위원회(IOC)로부터 공식 인정을 받았다. 이후 홍콩은 영국과는 별개의 선수단으로 올림픽에 참가하기 시작했다. 당시 홍콩 선수가 금메달을 획득할 경우, 시상식에서는 홍콩 식민지 시대의 국기가 게양되고 영국의 국가가 연주되었다.
1997년 홍콩 반환 이후, 홍콩은 중화인민공화국의 특별 행정구가 되었고, 홍콩 NOC의 공식 명칭은 홍콩, 중국으로 바뀌었다. 중요한 점은 홍콩이 반환 이후에도 자체 NOC를 유지하며 중국 본토와는 별도로 올림픽에 계속 참가한다는 것이다. 이는 홍콩의 독자적인 지위를 인정하는 경과 규정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지만, 이를 명시적으로 증명하는 공식 문서는 확인되지 않았다.[1] 이러한 홍콩의 독자적인 올림픽 참가는 마카오의 경우와 대조된다. 마카오 역시 자체적인 마카오, 중국 스포츠 및 올림픽 위원회를 보유하고 있지만, IOC의 인정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올림픽에는 참가하지 못하고 아시안 게임과 같은 지역 대회에서만 중국 본토와 별도로 경쟁할 수 있다.[2]
홍콩 반환 이후 올림픽 시상식에서는 홍콩 특별 행정구 국기가 게양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가 연주된다. 만약 홍콩 선수가 금메달을 따고 중국 본토 선수가 은메달이나 동메달을 획득하는 경우에도, 홍콩 국기가 중국 국기보다 상위에 게양된다. 이러한 홍콩의 독자적인 국제 스포츠 활동은 홍콩 반환 이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제정한 홍콩 기본법 제7장 제151조에 법적 근거를 두고 있다. 해당 조항은 홍콩이 "스스로 [...] 경제, 무역, 금융, 통화, 해운, 통신, 관광, 문화 및 스포츠 분야를 포함하여 적절한 분야에서 외국 및 지역과 관계를 유지하고 발전시키며 관련 협정을 체결하고 이행할 수 있다"고 명시하여 홍콩의 자율성을 보장하고 있다.[3]
한편, 2008년 베이징 하계 올림픽 당시 승마 종목 경기는 홍콩에서 개최되었다.
3. 종목별 메달 획득 현황
3. 1. 하계 올림픽
개최 올림픽 | 선수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합계 | 순위 |
---|---|---|---|---|---|---|
영국령 홍콩으로 참가 | ||||||
1952년 헬싱키 | 4 | 0 | 0 | 0 | 0 | - |
1956년 멜버른 | 2 | 0 | 0 | 0 | 0 | - |
1960년 로마 | 4 | 0 | 0 | 0 | 0 | - |
1964년 도쿄 | 39 | 0 | 0 | 0 | 0 | - |
1968년 멕시코시티 | 11 | 0 | 0 | 0 | 0 | - |
1972년 뮌헨 | 10 | 0 | 0 | 0 | 0 | - |
1976년 몬트리올 | 25 | 0 | 0 | 0 | 0 | - |
1980년 모스크바 | 불참 | |||||
1984년 로스앤젤레스 | 47 | 0 | 0 | 0 | 0 | - |
1988년 서울 | 48 | 0 | 0 | 0 | 0 | - |
1992년 바르셀로나 | 38 | 0 | 0 | 0 | 0 | - |
1996년 애틀랜타 | 23 | 1 | 0 | 0 | 1 | 49 |
홍콩, 중화인민공화국으로 참가 | ||||||
2000년 시드니 | 31 | 0 | 0 | 0 | 0 | - |
2004년 아테네 | 32 | 0 | 1 | 0 | 1 | 65 |
2008년 베이징 | 34 | 0 | 0 | 0 | 0 | - |
2012년 런던 | 42 | 0 | 0 | 1 | 1 | 79 |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 37 | 0 | 0 | 0 | 0 | - |
2020년 도쿄 | 46 | 1 | 2 | 3 | 6 | 49 |
2024년 파리 | 36 | 2 | 0 | 2 | 4 | 37 |
2028년 로스앤젤레스 | 미래 대회 | |||||
2032년 브리즈번 | ||||||
합계[10] | 4 | 3 | 6 | 13 | 77 |
지금까지 하계 올림픽에서 획득한 올림픽 메달은 총 13개이며, 이 중 6개는 2020년 도쿄 올림픽에서 획득한 것이다. 동계 올림픽에서의 메달 획득은 아직 없다.
3. 2. 동계 올림픽
대회 | 선수 | 금 | 은 | 동 | 합계 | 순위 |
---|---|---|---|---|---|---|
2002년 동계 올림픽 | 2 | 0 | 0 | 0 | 0 | – |
2006년 동계 올림픽 | 1 | 0 | 0 | 0 | 0 | – |
2010년 동계 올림픽 | 1 | 0 | 0 | 0 | 0 | – |
2014년 동계 올림픽 | 1 | 0 | 0 | 0 | 0 | – |
2018년 동계 올림픽 | 1 | 0 | 0 | 0 | 0 | – |
2022년 동계 올림픽 | 3 | 0 | 0 | 0 | 0 | – |
합계 | 0 | 0 | 0 | 0 | – |
3. 3. 하계 올림픽 종목별
4. 메달리스트 목록
리칭
리호칭
수와이얌